전체 글90 연구개발비의 분류와 연구개발비를 보는 자세 안녕하세요! 크러켓입니다 오늘도 연구개발비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연구개발비를 말하면, 자산인지 비용인지 파악하는게 중요하죠. 다음 순서대로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연구개발비의 분류: 비용과 자산 2. 연구개발비 분류의 어려움 3. 연구개발비를 보는 자세 1. 연구개발비의 분류: 비용과 자산 연구개발비는 크게 2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자산과 비용입니다. 1) 투자로 인식하면 자산으로 처리합니다. 왜냐하면, 돈이 되기 때문이죠. 무형자산으로 인식을 했기 때문에, 매 년마다 감가상각을 진행하고, 이는 재무상태표(B/S)에 반영됩니다. 2) 비용으로 인식할 경우, 손익계산서(P/L)에 인식합니다. 연구개발이라는 말을 통해 살펴보면, 연구는 당기비용으로 처리하고, 개발은 자산으로 처리합니다. .. 2021. 8. 26. 연구개발비의 비용처리로 인한 당기순손실 발생 안녕하세요. 크러켓입니다. 주식시장을 보면, 바이오기업이 연구개발에 성공했다는 기사를 보고 투자했다가 쪽박을 차린다는 이야기가 종종 들립니다. 이는 연구개발에 사용한 비용을 비용으로 처리하지 않고 자산으로 처리하였다가, 나중에 실패하여 비용이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그동안 인식하지 않았던 비용을 한꺼번에 인식하여, 영업적자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오늘은 이 연구개발과 무형자산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것이 실전회계다 p234~241참고) ●목차 1. 연구개발비용: 비용과 자산 구분의 어려움 2. 바이오 기업에서 연구개발 이슈 3. 비용처리로 인한 영업적자 문제 1. 연구개발비용: 비용과 자산 구분의 어려움 보통 제조기업들은 연구개발 비용의 80% 이상을 당기(해당연도) 비용으로 처리합니다. 하지.. 2021. 8. 23. 개발비와 무형자산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크러켓입니다. 오늘은 무형자산과 연구개발비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이것이 실전회계다 p226~233을 참고했습니다. ●목차 1. 개발비의 분류: 연구활동과 개발활동 2. 자산: 무형자산 개발비 3. 비용: 경상개발비 1. 개발비의 분류: 연구활동과 개발활동 보통 개발비라고 생각하면 전부 비용으로 처리해야 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연구개발을 하는 이유는 무형자산을 만들어 이익을 얻기 위함입니다. 일반적으로, 회사에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줄 가능성이 크고, 그 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다면 자산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연구개발 지출 중에서 회사에 이익을 줄 개발활동은 '비용'이 아닌 '자산'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이때, '개발비'라는 계정 과목으로 표현합니다.. 2021. 8. 18. 회계기준 3가지<중소,일반,K-IFRS> 안녕하세요. 크러켓입니다. 오늘은 회계기준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회계기준에는 3가지가 있는데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회계 기준 3가지 2. 외부회계감사 대상 1. 회계기준 3가지 기업이 재무 상태를 외부에 보고하는 재무회계에는 기준이 있습니다. 이런 기준을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GAAP, 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이라고 부륿니다. GAAP에 따라 회계처리하며 재무제표의 신뢰성, 이해가능성, 기업 간 비교가능성을 통해 올바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에서는 기업의 규모와 상장 여부 등에 따라 각기 다른 회계 기준을 적용합니다. 대한민국에는 '중소기업회계기준', '일반기업회계기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 2021. 8. 12. -지분법 손실- 영업이익이 흑자여도 당기순이익이 적자인 이유 안녕하세요. 크러켓입니다. 오늘은 오랜만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다른 일들도 있고, 좀 쉬는 시간도 갖다 보니 조금 늦어졌네요. 오늘 주제는 2016년, 대한항공이 보유한 한진해운에 대해 써보겠습니다. ●목차 1. 영업이익 흑자에도 당기손이익이 적자인 이유 2. 지분법 손실과 손상차손 3. 영구채 손상차손 1. 영업이익 흑자에도 당기손이익이 적자인 이유 2016년 대한항공은 영업이익 흑자가 사상 최대였습니다. 2016년 1분기 대한항공은 영업이익 3,223억이었지만, 당기순이익은 (-)1,749억이었습니다.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70% 증가했지만,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1,331억 감소했습니다. 무슨 이유 때문일까요? 바로, 대한항공이 보유한 한진해운 지분 33% 때문입니다.(손상차손 2,157억) 또.. 2021. 8. 10. 지분법 회계 주의사항- 내부거래와 배당금- 안녕하세요. 크러켓입니다. 회계기준 중 중요한 주제 중 하나가 '지분법'입니다. 왜냐하면, 연결회계를 이해하기 위해 지분법 회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럼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 이것이 실전회계다 p203-209) ●목차 1. 지분법 회계처리시 주의사항 2가지 2. 사례1-일반적인 지분법 회계처리 3. 사례2-매도가능증권 관련 회계처리 4. 사례3-내부거래에 따른 회계처리 5. 사례4-배당금을 지급했을 경우 회게처리 1. 지분법 회계처리시 주의사항 2가지 지분법 회계처리시 2가지 사항을 신경써야 합니다. 첫째. 내부거래에서 발생한 손익 중 아직 실현되지 않은 손익은 제거해야 합니다. 둘째. 관계회사가 배당금을 지급한 경우, 지급한 배당액만큼 취득한 지분법 투자주식의 장부가.. 2021. 8. 4. KFC 사례를 통해 지분법 손실 공부하기 안녕하세요. 크러켓입니다. 오늘은 KFC를 통해 지분법손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참고: 이것이 실전회계다 p194~202) ●목차 1. 피투자회사가 당기순이익이 발생해도 적자인 경우 2. 재무상태표에 보고된 지분법 투자주식의 변동금액 찾는 방법 1. 피투자회사가 당기순이익이 발생해도 적자인 경우 2014년에 CVC캐피탈은 레스토랑인베스트먼트코리아(주)를 설립하여, 에스알에스코리아(주)를 998억원에 인수했습니다. 지배구조를 그려보면, (주2)와 같습니다. 에스알에스의 순자산 공정가치는 458억인데, CVC는 540억을 더 가치있다고 여겨 540억을 더 지불했습니다. 일반기업회계기준에서는, 이 투자차액에 대해 상각을 하기로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매 년마다 108억 상각액을 인식합니다.(108억=54.. 2021. 8. 3. 구글/알파벳(Alphabet) 기업 분석 3편-사업현황 분석 안녕하세요. 크러켓입니다. 오늘은 저번 알파벳 1,2편에 이어 3편을 작성하였습니다. ●목차 1. 회사에 대한 개요 1) 회사에 대한 정보(기본정보, 경영진, 주주현황) 2) 요약재무제표 분석 3) 종속 및 관계회사 2. 재무제표 분석 1) 재무상태표 분석 2) 손익계산서 분석 3) 현금흐름표 분석 3. 사업 현황 분석 1) 매출 분석 2) 주요 부문 분석 3) 기타 부문 분석 4) 알파벳 SWOT 분석 3. 사업 현황 분석 (1) 매출 분석 알파벳 매출은 크게 광고수익과 광고외수익, 클라우드 수익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매출에서 광고수익이 80.49%, 광고외수익이 11.89%, 클라우드가 7.15%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위 3개 부문이 99.54%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 주요 부문 분석 .. 2021. 8. 2. 총공사'예정'원가를 이용한 진행기준 분식회계 안녕하세요. 크러켓입니다. 저번 시간에 수주산업에서 진행기준과 완성기준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진행기준은 분식회계 발생가능성이 있다고 간단히 이야기했는데, 오늘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참고: 이것이 실전회계다 p391~394) ●목차 1. 건설사 진행기준 회계처리 2. 건설사 분식회계 사례 3가지 3. 진행기준 분식회계 분석시 유의사항 1. 건설사 진행기준 회계처리 진행기준 회계에서는 공사진행률을 신뢰성있게 추정해야 합니다. 공사진행률이 신뢰성 있게 추정되지 않으면, 당기손익이 왜곡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공사진행률에 따라 당기손익이 어떻게 바뀌는지 알아보도록 합시다. (주1)을 살펴보면, 누적진행률은 2019년에 62.5%, 2020년에 100%입니다. 당기공사수익은 2019년에 도급금액에 2019년 .. 2021. 7. 30. 이전 1 ··· 3 4 5 6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