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분석7 EV/EBITDA의 문제점과 대안으로 나온 DCF(현금흐름할인) 모형 안녕하세요, 크러켓입니다.오늘은 평소 많이 사용하는 EBITDA 라는 개념과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EBITDA의 정의2. EBITDA를 많이 사용하는 이유3. EBITDA를 사용할 때 문제점 4가지4. 대안으로 나온 DCF 모형(현금흐름할인 모형) 1. EBITDA의 정의 EBITDA 란, 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의 약자입니다. 한국어로 해석하면, 이자/세금/감가상각비/무형자산상각비를 빼기 전의 순이익을 말합니다. 실제 현금 창출력을 추측하는 지표로 사용되며, 보통 "영업이익+감가상각비/무형자산상각비"로 많이 구합니다. ① EBITDA = 영업이익(Operating Income, EBIT) +.. 2025. 4. 22. M&A 대상 기업 선정시 고려사항 3가지 M&A는 기업의 비전과 목표에 맞는 대상 기업(Target Company)를 선정하는 작업부터 시작함적절한 대상 기업을 선정하는 것은 M&A를 성공시키기 위한 필수 조건임 일반적으로 3가지 조건을 검토한다.1. 전략에 부합하는지 여부2. 핵심 역량 보유 여부3. 재무적 기준 1. 전략적 부합 여부기업의 목표와 전략이 없는 M&A는 실패가능성이 높음특히, 이종산업의 M&A를 검토할 때에는 실패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에 면밀한 검토가 필요함기업이 M&A를 진행할 때, 미리 대상기업을 선정하는 경우보다는 매물 기업에 대한 정보를 접하고 M&A를 검토하는 경우가 더 많음특히, M&A 대상 기업이 특정 산업에서 선두기업인 경우 이러한 일이 자주 발생함대상기업을 인수하여 해당 업계에서 빠르게 선두를 차지할 수 있는.. 2024. 8. 11. 볼트온(Bolt-on) M&A 전략과 국내/해외 사례 및 특징 볼트온 M&A 전략1. 정의볼트온(Bolt-on) 전략:동종업계 기업을 인수해 시장 지배력을 확대하거나 연관 업종의 사업체를 인수해 회사의 가치를 끌어올리는 전략. 몸집을 불려 '규모의 경제'를 꾀하는 경영 방식(출처: 매일경제) 볼트온의 뜻은 기존에 가지고 있는 물건에 볼트를 죄어 새로운 물건을 붙인다는 의미임. 인수 기업이 인수 기업의 기존 구조에 쉽게 볼트를 죄어 역량을 강화하거나 영역을 확장하는 것을 의미함M&A 분야에서는 유사한 분야의 기업을 인수하는 것을 뜻함 2. 국내 사례① 한앤컴퍼니-웅진식품한앤컴퍼니는 2013년 9월에 웅진그룹에서 950억 원에 웅진식품을 인수함한앤컴퍼니에 인수된 후, 웅진식품은 대영식품, 동부팜가야 등 동종업계의 기업을 인수함웅진식품은 기존에 보유한 아침햇살, 초록매.. 2024. 4. 6. M&A 모멘텀의 2가지-①그룹 확장형 M&A와 ②사업 확장형 M&A [4][본 내용은 M&A거래의 기술(저자: 류호연, 출판사: 매일경제신문사)을 읽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기업이 M&A를 통해 얻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표 중 하나는 "주주가치를 높이는 것"이다.사업이 잘 운영되어 막대한 현금흐름을 창출하면, 내부에 이익잉여금으로 쌓아 배당금을 늘릴 수도 있고, 그 돈으로 다시 투자하여 기업이 성장에 집중할 수도 있음. 특히, 이때 M&A가 기업 성장의 방법으로 자주 사용됨 M&A의 모멘텀은 크게 2가지가 있음1. 그룹 확장형 모멘텀: 기업의 외연 확대에 집중2. 사업 확대형 모멘텀: 영위하는 사업 자체의 규모 확대에 집중 1. 그룹 확장형 모멘텀- 사업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는 측면에서 이루어짐- 기존 사업과 시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전후방 산업을 인수하거나 이종산업에 신.. 2024. 4. 4. 경영권 지분의 정의와 DART 사례 찾아보기 [3][본 내용은 M&A거래의 기술(저자: 류호연, 출판사: 매일경제신문사)을 읽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1. M&A: Mergers & Acquisitioon 인수: 하나의 기업이 다른 기업의 경영권을 취득 합병: 둘 이상의 기업이 법적으로 하나의 기업으로 합쳐져 경영권이 통합되는 것 해외에서는 주로 "합병"을 통하여 경영권 통합되는 사례가 많음 반면, 국내는 경영권 "인수"거래가 먼저 일어나고 그 이후의 별도의 합병거래를 통하여 경영권 획득하는 경우가 많음 (해외: 합병, 국내: 인수→합병) 2. 경영권이란? : 기업에 대한 지배권으로, 일반적으로 '기업의 경영 또는 정책에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힘'으로 정의 이러한 권한은 주주가 이사의 선임을 통해 경영진에게 영향력을 행사하거나, 주주총.. 2024. 1. 29. 기업의 내/외부적 성장과M&A의 동기 7가지 [2][본 내용은 M&A거래의 기술(저자: 류호연, 출판사: 매일경제신문사)을 읽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기업이 성장하는 방법은 크게 내부적 성장과 외부적 성장으로 나눌 수 있다. 내부적 성장은, 회사 내에서 성장을 추구하는 방법이다. 설비투자나 연구개발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처음부터 끝까지 회사 내에서 일을 처리하고자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회사 내에 전문 인력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실패 확률이 올라간다. 반면, 외부적 성장은 회사 밖에서 성장을 추구하는 방법이다. 크게 M&A가 외부적 성장의 한 가지 방법이다. 외부적 성장은 M&A, 조인트벤처, 소수지분 투자, 전략적 제휴 등 다양한 모습을 통해 이루어진다. 회사 밖에서 자금을 통해 성장을 추구하기 때문에 내부적 성장보다 신속.. 2024. 1. 24. M&A가 실패하는 이유 3가지 [1][본 내용은 M&A거래의 기술(저자: 류호연, 출판사: 매일경제신문사)을 읽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본 책은 유튜브 채널 "주언규 joo earn gyu"에서 동영상 "돈 벌려면 곡 봐라"를 보면서 알게 된 책입니다. 다른 책은 그다지 관심이 적었고, M&A거래의 기술은 제가 관심이 생긴 분야이며, 흥미로운 주제라 책을 구매하여 읽게 되었습니다. 책을 1번 읽었는데 어려운 내용들도 종종 있어 1회독 이후 2회독 하면서 책을 소주제 1개씩 읽고 내용 정리하며 머리에 넣을 생각입니다. 여기서 더 알아볼 주제나, 깊게 파고들면 재미있을 부분들을 추가로 정리하고자 합니다. 1. M&A는 절반 이상 실패한다. ① 전략과 목표의 부재 ② 과도한 거래조건 ③ 인수 후 통합의 실패 1. M&A는 절반 이상 실패한.. 2024. 1.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