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크러켓입니다.
오늘은 저번 시간에 이어 소파이(SoFi)의 재무제표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소파이(SoFi) 기업분석 2편-재무제표 분석->>
<<소파이(SoFi) 기업분석 3편-투자/위험요소 분석->>
●목차
1. 회사에 대한 개요
1) 회사에 대한 기본 정보
2) 사업분야
2. 재무제표 분석
1) 재무상태표 분석
2) 손익계산서 분석
3. 소파이의 투자가치와 위험요소 분석
1) 투자가치
2) 위험요소
2. 재무제표 분석
1) 재무상태표 분석(B/S 분석)
> 현금및현금성자산(Cash and equivalents) : 현금및현금성자산은 매 해마다 증가하고 있습니다.
> 장기투자자산(Long-Term Investments): 장기투자자산도 매 해마다 증가하고 있습니다.
> Loans and Lease Receivables(대출금 및 리스 관련 채권): 관련 채권은 매 해마다 감소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빌려주고 있는 대출금이 잘 회수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 Other Receivables(기타 채권): 기타 채권은 매 해마다 조금씩 증가하고 있지만 다른 자산 과목들에 비해 비중이 매우 낮습니다.
> 유형자산(Gross Property Plant And Equipment) : 기업이 커지면서 관련 유형자산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감가상각비용도 증가했습니다.
> 영업권(Goodwill): 2018년과 2019년에 영업권은 16이었다가 2020년에 영업권은 899로 증가했습니다. 2020년 4월에 갈릴레오를 인수하면서 인식한 영업권입니다. 갈릴레오 인수에, 883백만달러의 프리미엄을 지급한 것입니다.
> 단기차입금(Short-Term Borrowings): 대출금이 증가하면서 단기차입금이 증가한 상황으로 보입니다.
2) 손익계산서(P/L) 분석
>> 총수익(Total Revenue): 2018년도에 잠시 감소했다가 2019년과 2020년에 4~500백만달러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총 영업비용(Total Operating Expenses): 총 영업비용은 매 해마다 조금씩 증가하고 있습니다.
>>총 영업이익(Operating Income): 영업이익은 비용증가에 따라, 18년 이후로 적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2020년 6월에 비해, 2021년 6월에 전체 순수익은 101%증가했습니다.
상품을 부문별로 나누어보면, 대출상품과 금융서비스 상품 모두 증가하고 있습니다. 19년도 1분기부터 21년도 2분기까지 대출상품은 675개에서 981개로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금융서비스 상품은 19년도 1분기에 107개에서, 21년도 2분기에 2,686개까지 증가했습니다. 그리고 20년도 3분기를 기준으로, 금융서비스 부문의 상품 수가 대출상품의 수보다 많아졌습니다.
플랫폼 계정의 수도 매 분기마다 증가했습니다. 20년도 2분기에 36백만개였지만, 21년도 2분기에 79백만개로 약 2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