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매출액과 매출총이익 비교-쿠팡의 매출액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이유

by 크러켓 2021. 7. 2.

안녕하세요. 크러켓입니다.

오늘은 유통업체의 직매입과 특정매입에 이어 소셜커머스의 직매입과 특정매입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목차

1. 소셜커머스의 매입 방식- 직매입과 특정매입

2. 쿠팡이 2015년에 매출액이 급증한 이유

3. 매출액보다 매출총이익을 확인해야 하는 이유


1. 소셜커머스의 매입 방식- 직매입과 특정매입

   코로나로 인해 기존 유통강자였던 백화점은 수익이 감소했으나, 소셜커머스 업체들은 배송과 물류를 통해 이익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유통업체와 마찬가지로 소셜커머스도 상품을 매입할 때,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직매입과 특정매입입니다.

(주1)직매입과 특정매입 방식 비교(출처: 이것이 실전회계다)

2021.07.01 - [분류 전체보기] - 유통업체를 통해 이해하는 총매출과 순매출

 

전에 썼던 글처럼 소셜커머스 업체도 보통 2가지 매입 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매출을 분석할 때 직매입인지 특정매입 방식인지 잘 확인해야 합니다.

 

2. 쿠팡이 2015년에 매출액이 급증한 이유

(주2)쿠팡의 매출 비교(출처: 2015년 사업보고서, Dart)

  (주2)를 살펴보면, 쿠팡의 매출은 크게 2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① 상품매출액(직매입 매출액)

  ② 수수료 및 기타 매출액(특정매입 매출액): 오픈마켓 수수료 매출액

 

  쿠팡은 2015년도에 총 매출액이 225% 증가했습니다. 수수료 및 기타매출액은 조금 감소했지만, 상품매출액이 408% 증가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쿠팡은 4배나 많은 물건을 판매한 것일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아니라는 것입니다. 쿠팡은 2015년부터 오픈마켓의 수수료 매출보다는 직매입 비중을 크게 늘렸습니다. 오픈마켓이란, G마켓이나 옥션 등의 소셜커머스입니다. 파는 사람과 사는 사람에게 공간만 제공하고, 파는 사람이 얻는 이익의 일정 비율을 수수료로 받아가는 마켓입니다. 

 

  즉, 쿠팡은 상품을 직매입해 홍보 및 마케팅을 통해 매출을 급성장시킨 것입니다.

 

3. 매출액보다 매출총이익을 확인해야 하는 이유

 

  이 부분에서 매출액보다 매출총이익을 확인해야 하는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주3)쿠팡의 매출액과 매출총이익(출처: 2015년도 사업보고서, Dart)

  (주3)을 살펴보면, 매출액은 전년대비 7,856억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매출액이 증가한 것보다 매출원가가 증가한 금액이 더 큽니다(매출원가는 7,999억 증가). 이에 따라, 매출총이익은 146억 감소했습니다. 그리고, 판매비와 관리비도 전년대비 4,109억 증가했습니다. 그 결과 쿠팡의 영업손실은 4,255억 증가했습니다.

 

  즉, 쿠팡은 매출액도 증가했지만, 그만큼 매출원가와 판매관리비도 덩달아 증가했습니다. 결국 수익에서 비용을 뺀 부분인, 이익이 더 작아졌습니다.

 

  쿠팡의 총매출과 순매출을 살펴보았듯이, 다른 소셜커머스도 단순히 총매출액으로만 기업의 경영상황을 파악해서는 안됩니다. 매출이 폭발적으로 증가해도 기업의 수익성은 오히려 악화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매출액 뿐만 아니라 매출총이익,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을 확인하여 경영 상황을 확인해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