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본의 구성 요소 5가지 간단히 살펴보기

by 크러켓 2021. 7. 22.

안녕하세요. 크러켓입니다.

오늘은 자본의 종류 5가지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자본의 개념 정리

2. 삼성전자와 LG화학의 자본 구성 차이

3. 자본금과 주식발행초과금 이해하기


1. 자본의 개념 정리

  간단히, 회계에서 자본이라고 하면 주주들의 돈으로 출자한 것을 말합니다. 주주들이 돈을 낸 것을 의미하죠. 자본은 5개로 구성되었다고 보기도 하고, 3개로 구성되었다고도 봅니다.

(주1)자본의 구성(출처: 재무회계워크북<김기동> p12-1)

  (주1)을 살펴보면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르면, 크게 납입자본, 기타자본구성요소, 이익잉여금으로 구분합니다. 그리고 납입자본에는 자본금과 자본잉여금, 기타자본구성요소에는 자본조정항목과 기타포괄손익누계액, 그리고 이익잉여금이 있습니다.

 

  각 개념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납입자본: 주주가 납입한 자본

① 자본금: 주주가 납입한 자본 중 "발행주식수X액면금액"

② 자본잉여금: 주주와의 자본거래에서 발생한 잉여금(="(발행가액-액면금액)x발행주식수")

ex) 주식발행초과금

 

(2) 기타자본구성요소: 납입자본과 이익잉여금 외의 자본

① 자본조정: 당해 거래의 특성상 소유주지분에서 가감되어야 하거나 또는 아직 최종결과가 미확정상태인 임시자본계정

ex) 주식할인발행차금, 자기주식, 주식매수선택권, 출자전환채무, 자기주식처분손실, 감자차손 등

②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손익거래의 결과이나 당해 거래의 특성상 당기손익(이익잉여금)에 반영할 수 없는 임시자본계정

ex)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 해외사업환산손익, 현금흐름위험회피 파생상품평가손익 등

 

(3) 이익잉여금: 주주 이외의 자와의 손익거래에서 당기순이익을 원천으로 하는 잉여금

ex) 미처분이익잉여금 등

 

2. 삼성전자와 LG화학의 자본 구성 차이

(주2)삼성전자 자본 구성요소(출처: Dart 사업보고서)
(주3)LG화학 자본구성요소(출처: Dart 사업보고서)

  (주2)와 (주3)을 살펴보면, 두 기업의 자본 구성요소는 다릅니다.

  (주2)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자본금, 주식발행초과금, 이익잉여금(결손금), 기타자본항목 4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반면, LG화학은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자본항목,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 5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즉, 회계기준에 따라 자본의 구성요소는 달라질 수 있으며, 강제로 규칙을 정해놓지는 않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K-IFRS 회계기준에서는 자본을 어떤 항목으로 분류해야하는지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고 있습니다. 즉, 기업마다 자본의 구성 항목들이 조금씩은 다르다는 것입니다.

 

3. 자본금과 주식발행초과금 이해하기

(주4)자본금과 주식발행초과금 이해하기

  (주4)를 살펴보면, 자본금은 "액면가액x발행주식수"입니다. 주식발행초과금은 "발행금액 중 액면가액을 초과한 부분x발행주식수"입니다. 위 상황을 살펴보면, 자본금은 5만원, 주식발행초과금은 95만원이 됩니다.

 

(주4)자본금과 주식발행초과금 도표

  자본은 정말 자세하게 다루면 양이 어마어마합니다. 감자차손, 법정적립금, 자본거래, 무상감자 등 여러 용어가나오죠. 그래서 천천히 하나씩 저도 정리하며 공부를 해보려 합니다.


▶  오늘 내용을 정리를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회계기준에 따라, 자본은 구성 항목이 달라진다. 

2. 강제적으로 "~으로 구분하라"라는 명시사항이 없다.

3. 그래서 각 기업의 재무제표에 나오는 자본 구성항목들이 조금씩 다르다.

4. 자본금은 액면금액x발행주식수

5. 주식발행초과금은 (발행가액-액면금액)x발행주식수


 

댓글